전례, 교회 변경용어
기 존 | 개 정 |
---|---|
신교, 기독교 | 그리스도교"로 통일(구교, 신교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기로 함)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예우가 필요할 때는 '개신교'도 가능, 다만 가톨릭의 '구교우', '구교우 집안'은 사용 가능. |
유태인, 유대인 | 유다인 |
예비자 | 예비 신자 |
행방불명자, 거주불명자 | 거주 미상자 |
망인, 망자, 사망자 | 죽은 이 |
본명 | 세례명('영명축일'은 가능) |
대소재 | 금식재(Ieiunium), 금육재(Abstinentia) |
공복재, 공심재 | 공복재, 공심재 겸용 |
당가, 재무담당 | 재정 담당(신부) |
교황 헌금 | 베드로 헌금 |
성청 | 사도좌, 성좌, 교황청 겸용 |
추기원회의 | 추기경회의 (역사적 기술에서는 '추기원회의'가능) |
부주교,협동주교 | 부 교구장 주교 |
교황청 순시관, 사도좌 파견 조사단 | 교황청 (사도좌) 순시자 |
일반(공통) 사제직 | 보편 사제직('직무 사제직'에 대비되는 말) |
가그리스도, 적그리스도, 반그리스도 | 그리스도의 적,거짓그리스도 |
육화 | 강생(일반적 의미의Incarnatio는 '체현', '구체화'로 사용) |
말세, 세말 | 종말 |
교오, 간린, 미색, 탐도,해태 | 교만, 인색, 음욕, 탐욕, 나태 |
믿는 이들의 공통 이해, 공통 신앙이해,신앙감 | 신앙 감각 (Sensus Fidelium) |
주부덕,신학삼덕 | 대신덕, 향주덕 |
염경기도, 묵상기도 | 소리기도, 마음기도 |
로사리오, 매괴 | 묵주 (로사리오 성월은 '묵주기도 성월'로 사용) |
혼인 동의 | 혼인 합의 |
불가타 성서, 라틴어 성서 | 대중 라틴말 성서로 통일 |
복음 저자, 복음기자 | 복음사가, 복음서 저자 겸용 |
산상수훈, 산상보훈 | 산상 설교 |
진복팔단 | 행복 선언(그 내용은 '참 행복') |
학사 | 신학생 |
산아제한 | 산아조절 |
임태, 수태 | 임신 |
명상 | 관상 |
선족 수도회 | 맨발 수도회 |
독수자, 은수자 | 구분이 필요 없을 때 '은수자'로 통일 |
축성생활 | 봉헌 생활 |
축복, 강복 | '축복'은 하느님께 복을 비는 것, '강복'은 하느님께서 내려주시는 복으로 구분. 예)사제는 축복을 하고 하느님께서는 강복하신다. |
입교식 | 예비신자 환영식 |
크리스마 성유 | 축성 성유 |
성야,전야, 밤샘 | 부활 Vigilia는 '성야', 일반 대축일 Vigilia는 '전야', 장례 등의 Vigilia는 '밤샘'으로 구분 |
낮미사,본일미사 | 대축일 당일에 드리는 미사는 '낮미사', '본일 미사' 대신 '대축일 미사'로 통일 |
대미사,대례미사 | 장엄 미사 |
공동 미사,합동 미사 | 공동 집전 미사 |
성사 미사 | 특별 예식 미사 |
회중 미사 | 교우들과 함께하는 미사 |
초령 기도 | 성령 청원 기도 |
면병, 빵, 밀떡 | 제병 |
양형 성체, 양형 성찬 | 양형 영성체 |
예외적 성체 분배자 | 성체 분배자 |
세족례 | 발 씻김 예식 |
(장례미사끝의) 고별식 | 고별 기도 |
서품자, 수품자 | 성품 주는 이, 성품 받는 이 |
청죄 사제 | 고해 사제 |
(성무일도의) 독서기도 | 말씀 기도 |
그레고리안 성가, 라테란 대성전 | 그레고리오 성가, 라테라노 대성전(형용사 대신 고유명사 표기) |
첫 첨례오, 첫 첨례육, 첫 첨례칠 | 첫 목요일 신심, 첫 금요일 신심, 첫 토요일 신심 |
미사수건, 미사보 | '미사보'로 통일 |
찬미 에수 | 예수님 찬미, 찬미 예수님 |
과월절(파스카) | 과월절, 넘이절을 혼용 |
무교절 | 무교절, 무누룩절, 누룩없는 빵의 축제를 시험적으로 혼용 |
응송 | 따름 노래 (화답송, 성무일도의 시편기도 등에는 '후렴'을 그대로 사용) |
애긍, 애긍시사 | 자선 |
영신생활, 영적생활 | 영성생활 |
방인, 본방인 | 제나라(지방) 사람, 본토인 |
이방인 | 딴나라(지방) 사람, 외국인 |
미사 통상문 변경용어
한국 순교자 이름 중 '소사', '아기', '큰아기', '서방' 등의 용어는 순교자 신심에 어울리지 않으므로 기도문 등에서의 공식 명칭은 성과 세례명만을 표기. 단, 학문적으로 신분을 밝혀야 할 경우에는 기존 용어도 가능 성당 (건물 또는 장소)의 명칭은, '천주교 OO동 성당'이라고 표기
기존 | 개정 | 기존 | 개정 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시작 예식 | 승천 | 주의승천 |
백성(신자) | 교우 | 백성 | 겨레 |
복사 | 봉사자 | 동정녀 | 동정녀 마리아 |
성호 | 십자성호 | 모상 | 모습 |
성신 | 성령 | 범죄 | 죄 |
친교 | 일치 | 삼위일체 | 삼위의 일체 |
성부 | 하느님 아버지, 성부 | 성체 감사송 | 성찬 감사송 |
천주 | 하느님, 천주 | 만찬 | 저녁 |
미사 지향 소개 | 미사의 뜻을 풀이 | 찬미의 예물 | 찬미의 제물 |
거룩한 미사 | 거룩한 신비 | 성모 | 복되신 성모 마리아 |
성 마리아 | 성모 마리아 | 여종 | 종 |
성인, 성녀 | 성인 | 주추 | 기초 |
불쌍히 여기다 | 자비를 베풀다 | 성인들의 통공으로... | 성인들과 하나되게 |
죄를 사하다 | 죄를 용서하다(씻어주다) | 중재 | 기도, 전구 |
중재자 | 중개자 | 확증 | 뚜렷한 증표 |
Kyrie(4향) | 자비송 | 간구 | 기도 |
말씀의 전례 | 말씀 전례 | 수도자 성녀 | 수도 성인 |
그리스도의 이름으로 | 그리스도를 통하여 | 심판 | 책벌 |
독서, 낭독 | 봉독 | 은혜 | 은사 |
응송 | 화답송 | 찬미하며 | 찬송하며 |
알렐루야, 복음 전 노래 | 복음 환호송 | 주의 위엄 | 지존하신 주님 |
외아들 | 외아드님 (또는 외아들) | 주의 주권 | 주님의 명 |
일체 | 한 본체 | 주의 명령 | 주님의 가르침 |
혈육을 취하다 | 육신을 취하다 | 주의 뜻 | 주님의 허락 |
치하 | 통치 아래 | 이 선물, 이 제물 | 이 예물 |
고난을 받다 | 수난하다 | 기구 | 기도 |
좇아나다 | 발하다 | 독생성자 | 성자 |
공번되다 | 보편되다 | 제물 | 예물 |
성세 | 세례 | 대열 | 무리 |
후세의 영생 | 내세의 삶 | 사례하신 후 | 감사를 드리며 |
죽으시다 | 돌아가시다 | 바칠 | 내어 줄 |
고성소 | 저승 | 믿나이다 | 선포하나이다 |
신자들의 기도 | 보편 지향 기도 | 지존하신 어전에 | 존엄한 대전에 |
성찬의 전례 | 성찬 전례 | 신앙의 표 | 신앙의 보람 |
제병 | 빵 | 주의 성체와 성혈 | 주님의 몸과 피 |
선물 | 예물 | 영벌 | 책벌 |
음식 | 양식 | 당치 못하오나 | 합당치 않사오나 |
세세에 | 영원히 | 영하다 | 모시다 |
경문 | 기도 | 배령하다 | 받아 모시다 |
천주성 | 신성 | 영원한 신약 | 영원한 생명의 약 |
통회하다 | 뉘우치다 | 폐회식 | 마침예식 |
잘못 | 허물 | 장엄 축복 양식 | 장엄 강복 |
허물 | 죄 | 파견 예식 | 마침 예식 |
유익 | 도움 | 8부 축일 | 팔일 축제 |
봉헌기도 | 예물기도 | 천국 | 하늘나라 |
성찬기도 | 감사기도 | 우리 구원의 업적 | 하느님과 친교의 길 |
대림 | 대림시기 | 공현 | 주의 공현 |
의무 | 도리 | 이교 백성들 | 만백성 |
구원 | 구원의 길 | 불멸의 새로운 광명 | 영원한 생명의 힘 |
좌품 주품(권품) 천사들 | 모든 천사 (천사의 무리) | 사순 | 사순 시기 |
인성 | 인간 | 빠스카 신비 | 파스카 축제 |
언약 | 약속 | 영원한 사물 | 영원한 구원 |
천상만군 | 하늘의 (모든) 군대 | 단식 | 금식 |
동정 마리아 | 동정 성모 | 덕행과 상금 | 힘과 상 |
예고 | 알려주었고 | 수난 | 주의 수난 |
8부 축일 | 팔일 축제 | 위엄 | 영광 |